핀(pin)은 물체를 고정할 때 쓰는 도구로, 바늘처럼 뾰족하게 만들어서 물체나 옷감 등을 고정할 때 씁니다.
체스에서 핀은 무엇을 뜻할까요? 오늘은 기물을 마치 핀처럼 활용하여 상대 기물을 고정하는 데 사용할 것입니다!
![]() |
흑 나이트가 백 폰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백은 어떤 수를 둬야 이길 수 있을까요? |
![]() |
Bd4! 흑 나이트는 이동하면 흑 킹을 체크 상태로 남겨두게 되기 때문에 움직일 수 없습니다. |
백 비숍을 마치 핀처럼 활용하여 흑 나이트를 고정했습니다. 이제 흑이 무슨 수를 두든 비숍으로 나이트를 잡고 백 폰을 프로모션 하여 쉽게 승리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처럼 핀은 킹처럼 나이트보다 더 중요한 기물이 뒤에 있기 때문에 나이트가 고정되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이제 핀을 활용하기 위해 더 자세히 알아봅시다.
절대적 핀
![]() |
흑 나이트는 체스 규칙상 움직일 수 없습니다. |
핀으로 고정된 기물이 킹을 공격하는 것을 막고 있으면 절대적 핀이라고 합니다. 체스 규칙상 핀으로 고정된 기물은 자신의 킹을 체크 상태로 남겨둘 수 없기 때문에 킹과 공격하는 기물 사이를 벗어날 수 없습니다.
![]() |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킹을 나이트가 공격하고 있는 칸으로 이동할 수는 없습니다. |
3.1.3 : A piece is considered to attack a square even if this piece is constrained from moving to that square because it would then leave or place the king of its own colour under attack.
해석하면, 기물이 자신의 색의 킹을 공격받게 하여 그 칸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그 기물은 그 칸을 공격한다고 간주한다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위 그림의 백 킹은 빨간색 칸으로 이동할 수 없습니다.
상대적 핀
![]() |
나이트를 움직이면 퀸이 잡힙니다. |
핀으로 고정된 기물이 킹이 아니고 가치가 더 높은 기물을 공격하는 것을 막고 있으면 상대적 핀이라고 합니다. 위 그림에서 흑 나이트를 움직이는 것은 체스 규칙상 가능하지만, 퀸이 공격받게 됩니다.
부분적 핀(Partial Pin)
![]() |
흑 퀸은 룩이 핀을 건 선을 따라 움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선을 벗어나지는 못합니다. |
위 그림에서 흑 퀸은 룩이 핀을 건 선을 따라서 움직일 수도 있고, 심지어 룩을 잡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선에서 벗어날 수는 없습니다. 이를 부분적 핀이라고 합니다.
![]() |
나이트가 체크메이트 할 수 있는 길을 터준 꼴이 됩니다. |
![]() |
마치 체크메이트가 되는 지점을 나이트가 막고 있기 때문에 상황적 핀에 걸린 것입니다. |
상황적 핀에서는 핀에 걸린 기물이 체스 규칙상 움직여도 됩니다. 하지만 움직였을 때 체크메이트나 큰 손해를 보기 때문에, 핀에 고정되었다고 보는 것입니다.
크로스 핀
![]() |
퀸을 통해 절대적 핀과 비숍을 통해 상대적 핀이 백 폰에 동시에 걸린 상황입니다. |
어떤 종류든 두 개 이상의 핀이 같은 기물에 걸린 것을 크로스 핀이라고 합니다. 위 그림에서는 백 폰으로 흑 비숍을 잡을 순 없고, 흑 퀸을 잡을 수는 있지만 흑 비숍이 백 퀸을 잡는 것을 막을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는 핀에 대한 정의 및 종류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이제 이 핀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봅시다.
핀 활용하기
핀은 공격 및 수비에 다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오프닝에서는,
![]() |
흑 나이트가 e4 폰을 공격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수비할까요? |
![]() |
Bg5를 통해 백은 비숍을 전개하면서 나이트를 핀에 걸고 e4를 간접적으로 수비합니다. |
비숍을 통해 c3, c6와 f3, f6에 있는 나이트를 핀에 거는 것은 비숍을 전개하면서 상대에게 위협을 가하거나, 내 기물을 수비하는 효율적인 수가 될 수 있습니다. 오프닝에서 자주 활용되는 방법입니다.
![]() |
흑 비숍이 백 룩을 통해 핀에 걸려 있습니다.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
![]() |
흑 비숍이 움직이지 못하는 것을 노려 백 폰으로 공격합니다. |
![]() |
따라서 이렇게 비숍을 앞서나갈 수 있습니다. |
지금까지 핀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상대가 기물이 핀에 걸려서 손해 볼 수 있는 상황인 것을 모르고 실수했을 때 꼭 응징하시길 바랍니다.
'전술 > 논-체크메이트 모티브(Non-Checkmate Motif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스 전술 : 디코이(Decoy) (0) | 2024.11.01 |
---|---|
체스 전술 : 더블 체크(Double Check) (0) | 2024.10.31 |
체스 전술 : 디스커버드 어택(Discovered Attack) (0) | 2024.10.30 |
체스 전술 : 스큐어(Skewer) (0) | 2024.10.29 |
체스 전술 : 포크(Fork) (0) | 2024.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