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유튜브 피드에 체스 영상이 자주 추천되지 않나요? 하지도 않던 체스 영상이 계속 보이다 보면, 어느새 멋진 수를 감탄하며 보고 있거나, 프로 선수들의 재미있는 모습에 빠져들기도 합니다. 체스 밈까지 즐기다 보면 ‘나도 한 번 체스를 해볼까?’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죠.
온라인에서 체스를 둘 수 있는 방법, 사이트들은 많지만, 그중에서도 Chess.com과 Lichess.org가 양대산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플랫폼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Chess.com
Chess.com - Play Chess Online - Free Games
Play chess online for free on Chess.com with over 200 million members from around the world. Have fun playing with friends or challenging the computer!
www.chess.com
Chess.com은 도메인명부터 ‘Chess’를 사용할 만큼, 오랜 역사를 가진 체스 사이트입니다. 2007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온라인 대국, 컴퓨터와의 대국, 체스 퍼즐, 체스 강의, 포럼 운영, 체스 관련 기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 왔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용자를 보유한 체스 사이트이기도 합니다.
Lichess.org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Lichess.org
The best free, adless Chess server
회원 가입, 광고, 플러그인 없이 즐길 수 있는 깔끔한 구성의 무료 온라인 체스 게임입니다. 컴퓨터, 친구 또는 무작위로 고른 상대와 함께 체스를 즐겨보세요.
lichess.org
Lichess.org는 비영리 조직이 운영하는 무료, 오픈 소스 체스 사이트입니다. 2010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Chess.com 못지않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양합니다. 비영리 조직이기 때문에 광고 수익이 아닌 후원금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Chess.com은 부분 유료화로 서비스하고 있지만, Lichess.org는 모든 게 무료라는 점이 체스 사이트에서 양대산맥을 이루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기능
제일 중요한 기능부터 비교해 보겠습니다. 아무래도 기능 중에서도 온라인으로 대국할 수 있는 기능이 제일 중요하겠죠.
온라인 대국
Chess.com과 Lichess.org 모두 온라인 대국, 컴퓨터와 대국, 친구와 대국할 수 있는 기능을 서비스합니다. 약간의 차이점은 존재하지만요.
온라인 대국에서는 사용할 시간(타임 컨트롤), 레이팅[1] 반영 여부, 그리고 변형 체스 규칙 적용 여부를 결정한 뒤, 같은 조건의 상대를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두 사이트 모두 가장 인기 있는 타임 컨트롤들을 한 번의 클릭으로 바로 선택할 수 있도록 단축 버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컴퓨터와 대국할 수 있는 기능도 살펴보겠습니다. Chess.com에서는 다양한 스타일의 봇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여러 가지 방식의 플레이어를 상대하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봇 옆에는 레이팅 표시도 있고, 봇마다 가진 고유의 대사도 있습니다. 상대하고 싶은 봇을 선택한 후 왕관 세 개가 있는 곳을 클릭해서 힌트나 무르기 등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Lichess.org에서도 컴퓨터와 대국할 수 있습니다. Chess.com만큼 다양하지 않지만, 난이도나 변형 규칙 적용 등을 설정해서 대국할 수 있습니다.
친구와도 대국할 수 있습니다.
Chess.com에서는 친구를 선택해 대국하거나, 초대 링크 및 이메일을 통해 상대를 초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제 경험상 링크로 초대하는 기능이 종종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Lichess.org에서는 이런 설정을 먼저 하고 나서, 자신이 흑과 백 중 무엇을 할지 고르면
이런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링크를 보내거나, QR코드, 친구를 선택해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제 경험 상, Chess.com이나 Lichess.org의 차이점이라고 하면 대국할 때 프리무브의 차이가 제일 크다고 생각합니다.
프리무브는 상대의 수를 기다리는 동안 미리 수를 정해놓으면, 상대가 두는 즉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기능입니다. Chess.com에선 프리무브를 하고 싶은 대로 연속해서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Lichess.org에선 프리무브를 한 수만 미리 설정할 수 있습니다. 대신 Chess.com에선 프리무브를 하더라도 0.01초를 무조건 소모하게 됩니다.
동시 접속자 수도 볼까요?
일반적으로 두 배 차이가 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추가적인 기능을 살펴보면, Chess.com에는 없지만 Lichess.org에는 상대방에게 시간을 더 주거나, 무르기 신청 등의 기능이 있습니다.
항목 | Chess.com | Lichess.org |
온라인 대국 | 다양한 타임 컨트롤과 변형 체스 지원 | 비슷한 기능 제공 |
컴퓨터 대국 | 다양한 스타일의 봇 제공, 레이팅 표시 및 대사 있음 | 난이도 설정 가능, 봇 종류는 적음 |
친구와 대국 | 친구를 직접 선택, 링크 초대, 이메일 초대, 페이스북 친구 찾기 가능 | 친구를 직접 선택, 링크 초대, QR코드 초대 가능 |
프리무브 | 여러 수를 미리 설정 가능, 단 0.01초 소모됨 | 한 수만 미리 설정 가능, 추가 시간 소모 없음 |
동시 접속자 수 | Lichess.org의 약 두 배 | 약 Chess.com의 1/2배 |
퍼즐
그다음으로 제일 많이 이용할 기능은 아무래도 퍼즐이겠습니다. 체스를 잘하는 방법을 찾아보면 대부분 '전술을 연습하라'고 하고, 전술을 연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퍼즐을 푸는 것이기 때문이죠.
Chess.com의 퍼즐부터 보겠습니다.
Chess.com에서는 일반적인 레이팅 시스템과 함께 티어 시스템도 존재합니다. 퍼즐을 맞히면 레이팅이 오르고, 틀리면 내려가는 간단한 방식입니다. 또한, 퍼즐을 맞힐수록 경험치가 빠르게 쌓이며, 일정 경험치가 쌓이면 상위 티어로 승급하는 구조입니다.
Chess.com의 퍼즐은 실전적인 문제들이 대부분이지만, 특정한 교훈을 주기 위해 만들어진 퍼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퍼즐들은 때때로 자연스럽지 않은 포지션을 만들기도 합니다.
Chess.com 퍼즐 기능의 장점은 퍼즐 러시, 퍼즐 배틀, 그리고 사용자 지정 퍼즐처럼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것입니다.
퍼즐 러시는 제한된 시간(예: 3분) 내에서 최대한 많은 퍼즐을 푸는 것이 목표인 모드입니다. 단, 퍼즐을 3번 틀리면 즉시 종료되므로 신중하게 풀어야 합니다. 퍼즐 러시 모드는 또 3분, 5분, 서바이벌로 나누어집니다. 서바이벌에 시간제한을 둔 게 3분, 5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퍼즐 배틀은 퍼즐 러시를 상대방과 동시에 대결하는 것입니다. 저도 이 글을 작성하면서 해봤는데요, 이용자가 많지는 않더라고요. 매칭 시간이 좀 걸리는 편입니다.
사용자 지정 퍼즐은 제일 중요한 기능입니다. Chess.com에선 퍼즐을 여러 전술적 테마로 분류해 놓았는데요, 예를 들어 '핀(Pin)', '포크(Fork)', '디스커버드 어택(Discovered Attack)' 같은 전술을 따로 선택해서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본인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테마에만 초점을 맞춰 훈련하면, 무작위로 주어지는 일반 퍼즐 모드보다 훨씬 빠르게 실전 감각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마치 헬스장에서 효율적인 근육량 증가를 위해 요일별로 부위 운동을 나누는 것처럼요.
사용자는 원하는 전술 테마를 고르고, 퍼즐의 난이도도 레이팅 범위를 설정해서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퍼즐 레이팅이 항상 신뢰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하진 않다는 점은 참고하시는 게 좋습니다.
Lichess.org의 퍼즐 기능도 볼까요?
Lichess 역시 퍼즐 시스템이 굉장히 잘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전술을 훈련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기본적인 퍼즐 훈련 외에도 몇 가지 하위 모드가 존재하는데, 각각의 목적과 스타일이 뚜렷해서 자신의 학습 스타일에 맞는 훈련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Lichess 퍼즐은 일반적으로 실제 게임에서 추출된 포지션이라, 직관적이고 실전 감각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퍼즐 테마(Puzzle Themes)
Lichess는 Chess.com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전술 테마로 퍼즐을 분류해 두었습니다. '디스커버드 어택', '앙 파상', '백랭크 메이트'처럼 특정 개념을 집중적으로 반복 학습할 수 있어, 약점을 보완하거나 특정 패턴에 대한 감각을 기르기에 좋습니다.
퍼즐 대시보드(Dashboard)
퍼즐 대시보드는 본인의 퍼즐 수행 결과를 시각적으로 정리해 보여주는 통계 페이지입니다. 어떤 테마에 강한지, 어느 유형에서 자주 틀리는지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자기 진단과 훈련 방향 설정에 큰 도움이 됩니다.
퍼즐 스트릭(Puzzle Streak)
퍼즐 스트릭은 연속 정답 도전 모드입니다. 점점 난이도가 높아지는 퍼즐을 맞히며 연속 기록을 세우는 방식인데, 한 문제라도 틀리면 스트릭이 끊기기 때문에 집중력과 정확도를 동시에 요구합니다.
퍼즐 스톰(Puzzle Storm)
퍼즐 스톰은 제한된 시간 안에 최대한 많은 퍼즐을 푸는 모드입니다. 퍼즐 하나를 맞힐 때마다 1점을 얻고, 시간이 다 떨어지기 전까지 계속 도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수하면 콤보 바가 초기화되고, 벌점으로 10초가 차감됩니다. 그래서 퍼즐 스톰은 무작정 빠르게만 풀기보다는,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속도도 챙겨야 하는 밸런스 게임처럼 느껴집니다. 또한 한 번의 플레이에서는 항상 같은 색(흑 또는 백)으로만 풀게 되어 있어, 흐름을 끊지 않고 집중해서 몰입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재미있는 점은 콤보 시스템인데요, 정답을 연속으로 맞히면 ‘콤보 바’가 차오르고, 이 바가 가득 찰 때마다 보너스 시간을 획득합니다. 예를 들어 5문제를 연속으로 맞히면 +3초, 12문제에서 +5초, 20문제에서 +7초, 이후로는 10문제마다 +10초씩 추가됩니다.
퍼즐 레이서 (Puzzle Racer)
퍼즐 레이서는 말 그대로 퍼즐을 두고 다른 유저들과 실시간으로 겨루는 레이싱 모드입니다. 제한 시간은 90초, 퍼즐 하나를 맞힐 때마다 1점을 얻고, 시간 내에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사람이 승리하게 됩니다.
한 번의 경기에서는 항상 같은 색(흑 또는 백)으로 플레이하며, 모든 참가자는 동일한 퍼즐을 풀게 됩니다.
특징적인 요소로는 콤보 바가 있습니다. 정답을 연속으로 맞히면 콤보 바가 차고, 바가 가득 찰 때마다 보너스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 5문제 연속: +1점
- 12문제 연속: +2점
- 20문제 연속: +3점
- 30문제 이후로는 10문제마다 +4점
단, 오답을 선택하면 콤보 바는 초기화되므로 정확도와 속도 사이에서의 균형감각이 중요합니다.
또한 퍼즐 레이서는 혼자 참여하는 퍼블릭 경기뿐만 아니라, 친구들과 링크를 공유해서 즐길 수 있는 프라이빗 경기도 지원합니다. 프라이빗 경기에서는 "다음 라운드" 버튼을 통해 별도의 링크 없이 계속해서 레이싱을 이어갈 수도 있습니다.
추가로 퍼즐 하나를 건너뛸 수 있는 ‘스킵’ 기능도 있는데요, 후반으로 갈수록 퍼즐 난이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막판에 아까운 콤보를 깨지 않기 위해 스킵을 전략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고득점을 노리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항목 | Chess.com | Lichess.org |
시스템 | 레이팅 + 티어 시스템 | 레이팅 시스템 |
퍼즐 | 가끔씩 나오는 작위적인 퍼즐이 존재 | 실전에서만 추출된 퍼즐 |
전술 테마 분류 | 있음 | 있음 |
난이도 조정 기능 | 사용자 지정 퍼즐에서 레이팅 범위 설정 가능 | 퍼즐 훈련에서는 자동 난이도 조정 |
통계 기능 | 간단한 통계 | 퍼즐 대시보드로 상세 통계 제공 |
모드 | 퍼즐 러시 (3분, 5분, 서바이벌) 퍼즐 배틀 (1:1) |
퍼즐 스트릭 퍼즐 스톰 퍼즐 레이서 |
학습
퍼즐 외에 체스를 공부하려는 사용자들을 위한 학습 기능도 두 플랫폼 모두 잘 갖춰져 있습니다. 하나하나 살펴보죠.
Chess.com은 체스 초보자부터 상급자까지, 모든 수준을 위한 콘텐츠를 동영상 및 퍼즐을 기반으로 제공합니다.
이를 테면, 자신이 원하는 강의를 선택해서 영상을 본 후, 연습문제 느낌으로 퍼즐을 푸는 식입니다.
다만 회원권을 구매하지 않았다면 주 1회만 무료로 수강할 수 있습니다.
체스를 두다 보면 자주 마주하게 되는 기본적인 엔드게임을 연습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킹과 폰 대 킹, 룩 대 킹 등 다양한 상황을 체계적으로 훈련할 수 있습니다. 실제 게임에서 시간을 줄이고 실수를 줄이기 위해 반복 학습하기 좋습니다.
유명한 경기, 오프닝, 특정한 상황에서 컴퓨터를 상대로 연습하는 모드입니다. 몇몇 포지션은 강의도 같이 있어 공부하기 좋습니다.
Lichess.org의 학습 기능도 보겠습니다.
먼저 체스를 처음 시작했을 때 알아야 할 내용들과,
중요한 전술 테마들을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lichess.org는 'Study'라는 분석 및 학습 기능이 있습니다. 이름 그대로 체스를 공부하거나 가르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도구인데, 단순히 혼자 복기하는 것 이상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Study는 기본적으로 분석 기능을 기반으로 되어 있지만, 여기에 여러 가지 기능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수순, 변형, 주석, 화살표 등 다양한 정보들을 기록할 수 있고, 작성한 내용은 서버에 저장되어 언제든 다시 열어볼 수 있습니다. 공개로 설정하면 누구나 열람 가능하고, 비공개로 설정하면 초대한 사람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Study는 혼자 사용하는 것뿐 아니라, 다른 사용자와 동시에 협업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나 코치를 초대해서 토론할 수 있고, 실시간 채팅과 편집도 지원됩니다. 여러 명이 함께 수업용으로 활용할 수도 있어서, 온라인 체스 강의 플랫폼으로도 충분히 기능합니다.
하나의 Study 안에서 챕터를 나눌 수 있다는 점도 특징입니다. 큰 주제는 같지만 다른 내용을 넣어야 할 때, 한 Study 안에 여러 챕터를 만들어 넣을 수 있습니다. 또한 챕터 내 수순을 숨길 수도 있어서, 퀴즈 형태로 만들어 연습용으로 쓰는 것도 가능합니다.
변형 체스(Chess960, Crazyhouse 등)도 전부 지원됩니다. 컴퓨터 평가, 오프닝 익스플로러, 엔드게임 테이블베이스 등 보조 기능도 Study 안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완성된 Study는 PGN으로 통합 저장/다운로드할 수 있어 외부 공유도 편리합니다.
분석
체스에서 실력을 높이는 데 있어 기보 분석은 매우 중요한 방법입니다. 자신이 뒀던 경기의 수순을 복기하고, 어떤 수에서 실수했는지, 더 나은 수가 있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실력 향상에 매우 큰 도움을 주기 때문이죠. Chess.com과 Lichess.org 모두 이러한 분석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Chess.com에서는 경기 종료 후 임 리뷰(Game Review) 기능을 통해 체스 엔진 기반의 상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각 수마다 정확성, 부정확한 수, 실수, 패착 등을 평가해주며, 최선의 수(Best Move)도 함께 제시됩니다.
특히 유료 회원의 경우 더 강력한 분석 엔진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PGN 파일을 업로드하여 외부 경기나 연습용 기보를 분석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돋보기 아이콘을 누르면 Analysis 페이지로 넘어가서 이런 수는 어땠는지 둬보면서 알 수 있습니다.
분석 기능에는 Chess.com의 굉장히 훌륭한 마케팅 수단으로, 탁월한 수가 있습니다.
이 깔끔하고 아름다운 청록색과 느낌표 2개는 사람들로 하여금 회원권을 구매하도록 유도하기 충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Lichess.org의 분석 기능은 완전히 무료임에도 강력합니다. 게임 종료 후 컴퓨터 분석 요청을 이용해서, 사용자는 Stockfish 17 기반의 엔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 수의 평가값과 더 나은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분석 중에는 오프닝 탐색기(Openings Explorer), 엔드게임 테이블베이스, 해당 포지션부터 컴퓨터와 대국하는 기능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Lichess.org의 분석 기능은 수를 오직 부정확한 수, 실수, 블런더만을 따로 표기합니다. 냉정한 Stockfish는 사용자가 얼마나 아름답고 멋있는 희생수를 뒀는지, 게임을 유리하게 이끌어갈 수 있는 유일한 수를 뒀는지 관심이 없습니다.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Chess.com과 Lichess.org의 핵심 기능들을 비교해보았습니다. 두 플랫폼은 모두 훌륭한 체스 학습 도구를 제공하지만, 지향하는 방향과 접근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 Chess.com은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콘텐츠, 그리고 풍부한 커뮤니티 요소를 갖춘 부분 유료 서비스에 가깝습니다. 고급 분석 기능과 체계적인 학습 시스템은 확실히 강점이지만, 일정 수준 이상을 경험하려면 유료 가입이 필요합니다.
- Lichess.org는 광고 없는 깔끔한 환경에서 모든 기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퍼즐, 분석, 연습 등 주요 기능들이 전혀 부족하지 않고, 오히려 어떤 부분에서는 Chess.com보다 자유롭고 깊이 있는 학습이 가능합니다.
결국 중요한 건 자신의 체스 목표와 스타일입니다.
탁월한 수가 주는 희열과 영상 강의와 함께 구조화된 학습을 선호한다면 Chess.com이 어울릴 수 있고, 비용 부담 없이 체스 실력을 키우고 싶다면 Lichess.org가 훌륭한 선택입니다. 결국 직접 두 사이트를 모두 경험해보고, 나에게 더 잘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겠습니다.
체스는 학습 도구도 중요하지만, 결국 꾸준한 연습과 반복이 실력을 만드는 게임이기도 하니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1] 레이팅(Rating)은 체스 실력을 숫자로 나타낸 점수입니다. 승리하면 상승하고, 패배하면 하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