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엔드게임

체스 엔드게임 : 퀸 vs. 마이너 피스

by chessceva 2024. 11. 20.
반응형

킹과 퀸 vs. 킹과 비숍, 혹은 나이트 상황에서는 웬만하면 퀸을 가진 플레이어가 승리합니다. 비숍 핀이나 나이트 포크가 되는 상황을 만들어주는 것이 아니라면 말입니다. 퀸 앞에서 마이너 피스가 얼마나 무력해 보일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퀸 vs. 마이너 피스

퀸이 아무리 마이너 피스보다 세고 이동할 수 있는 칸 개수부터 월등히 많지만 상대도 최선의 수만 둔다고 가정하면 퀸 혼자서 다 해결해주지는 못합니다. 킹도 퀸을 도와주어야 합니다.


퀸 vs. 비숍

상대가 킹 하나만 있었던 상황처럼 가장자리로 몰아가는 방법을 사용할 겁니다. 대신, 비숍의 위치를 조심하면서 체크를 하거나 킹을 더 가까이 이동할 것입니다. 상대방 킹을 가장자리로 몰아가는 것에만 몰두하면 상대에게 전술 기회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내 킹과 퀸 모두 비숍과 같은 색깔의 칸을 밟고 있다거나, 같은 대각선에 있는 상황은 웬만하면 피하는 것입니다.

킹과 퀸 vs. 킹과 비숍

퀸으로 체크메이트를 하려면 상대방 킹을 가장자리나 구석으로 몰아야 하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퀸으로 체크를 하면서 중앙에서 몰아내고, 킹으로 다시 중앙에 오지 못하도록 막을 것입니다. 반대로, 상대방은 킹은 최대한 중앙에 유지하고, 핀이나 포크 등에 당하지 않도록 비숍을 킹과 가까이 둘 것입니다.

킹이 다가가고, 퀸으로 체크하고, 상대방 킹이 뒤로 가면 킹이 가고...

만약 킹을 중앙에 최대한 가깝게 두기 위해서, 혹은 비숍을 살리기 위해 비숍을 멀리 움직이면 포크 등 전술을 통해 비숍을 잡고 안전하게 할 수 있습니다.

퀸으로 체크를 반복하면 비숍을 살리기 위해 킹이 더 가장자리로 몰리거나 포크를 당하게 됩니다.

하지만 비숍이 살아있더라도 여전히 퀸으로 체크메이트를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예시입니다.

킹과 퀸 vs. 킹과 비숍


퀸 vs. 나이트

나이트를 상대할 때도 마찬가지로 상대방 킹은 가장자리로 몰고 체크메이트 한다는 아이디어는 같습니다. 하지만 나이트의 포크에 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겠습니다.

상대방 킹을 가장자리로 보내려면 킹과 퀸 다 필요하긴 하지만...

나이트 포크에 당하지 않는 방법으로 제일 확실한 것은 수를 두기 전에 한 번만 더 생각해보는 것입니다. 혹은, 내 킹이 나이트에 의해 체크 당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보아도 됩니다.

이런 상황만 피해도 충분히 나이트 포크에 당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아래는 예시입니다.

킹과 퀸 vs. 킹과 나이트


제가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다 이긴 게임을 마지막에 실수해서 놓치지 마시길 바라며 글 마치겠습니다.

반응형